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Header
이 문서는 프론트엔드 작업 시 따라야 할 모범 사례를 설명합니다.

상태 관리

React와 Recoil은 코드베이스에서 상태 관리를 처리합니다.

useRecoilState로 상태 저장하기

It’s good practice to create as many atoms as you need to store your state.
프롭스 드릴링에 너무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추가 아톰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export const myAtomState = atom({
  key: 'myAtomState',
  default: 'default value',
});

export const MyComponent = () => {
  const [myAtom, setMyAtom] = useRecoilState(myAtomState);

  return (
    <div>
      <input
        value={myAtom}
        onChange={(e) => setMyAtom(e.target.value)}
      />
    </div>
  );
}

상태 저장에 useRef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상태 저장에 useRef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상태를 저장하려면 useStateuseRecoilState를 사용해야 합니다. 일부 리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useRef가 필요하다고 느낄 경우 리렌더링 관리 방법을 참조하십시오.

리렌더링 관리

리액트에서 리렌더링은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피하기 위해 따라야 할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리렌더링의 원인을 이해하면 항상 리렌더링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십시오.

루트 레벨에서 작업하기

새 기능에서 리렌더링을 피하는 것은 이제 루트 수준에서 문제를 제거함으로써 쉬워졌습니다. PageChangeEffect 사이드카 컴포넌트는 페이지 변경 시 실행할 모든 로직을 담고 있는 하나의 useEffect만을 포함합니다. That way you know that there’s just one place that can trigger a re-render.

Always think twice before adding useEffect in your codebase

리렌더링은 종종 불필요한 useEffect에 의해 발생합니다. useEffect가 필요한지 생각해보고 이벤트 핸들러 함수로 로직을 옮길 수 있는지 고민하십시오. 일반적으로 로직을 handleClick 또는 handleChange 함수로 옮기기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Apollo와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onCompleted, onError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형제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useEffect 또는 데이터 페칭 로직을 추출하기

루트 컴포넌트에 useEffect를 추가해야 한다고 느낄 경우 사이드카 컴포넌트로 추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Apollo 훅을 사용하여 데이터 페칭 로직에 동일한 규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Bad, will cause re-renders even if data is not changing, 
//    because useEffect needs to be re-evaluated
export const PageComponent = () => {
  const [data, setData] = useRecoilState(dataState);
  const [someDependency] = useRecoilState(someDependencyState);

  useEffect(() => {
    if(someDependency !== data) {
      setData(someDependency);
    }
  }, [someDependency]);

  return <div>{data}</div>;
};

export const App = () => (
  <RecoilRoot>
    <PageComponent />
  </RecoilRoot>
);
// ✅ Good, will not cause re-renders if data is not changing, 
//   because useEffect is re-evaluated in another sibling component
export const PageComponent = () => {
  const [data, setData] = useRecoilState(dataState);

  return <div>{data}</div>;
};

export const PageData = () => {
  const [data, setData] = useRecoilState(dataState);
  const [someDependency] = useRecoilState(someDependencyState);

  useEffect(() => {
    if(someDependency !== data) {
      setData(someDependency);
    }
  }, [someDependency]);

  return <></>;
};

export const App = () => (
  <RecoilRoot>
    <PageData />
    <PageComponent />
  </RecoilRoot>
);

Recoil 가족 상태 및 Recoil 가족 선택자 사용하기

Recoil 가족 상태와 선택자는 리렌더링을 피하기 위한 훌륭한 방법입니다. 항목 목록을 저장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React.memo(MyComponent)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React.memo()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이것은 리렌더링의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며, 대신 리렌더 체인을 끊어 의도치 않은 동작을 유발하고 코드 리팩토링을 매우 어렵게 만듭니다.

useCallback 또는 useMemo 사용 제한

이들은 종종 필요하지 않으며, 성능 향상을 위해 코드 읽기와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듭니다.

Console.logs

console.log 문은 개발 중에 변수 값과 코드 흐름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생산 코드에 남아 있으면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성능: 과도한 로깅은 특히 클라이언트 측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런타임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보안: 민감한 데이터 로깅은 브라우저 콘솔을 검사하는 누구나 중요한 정보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3. 깔끔함: 콘솔을 로그로 가득 채우면 개발자나 도구가 필요한 중요한 경고나 오류를 가릴 수 있습니다.
  4. 전문성: 사용자가 콘솔을 확인하고 수많은 로그를 보면 코드의 품질과 정교함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생산 환경에 코드를 올리기 전에 모든 console.logs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름 지정

변수 이름 지정

변수 이름은 변수의 목적이나 기능을 정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이름의 문제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인 이름은 특수성이 부족하여 모호성을 유발하고 코드 가독성을 감소시킵니다. 이름이 변수나 함수의 목적을 전달하지 않으면 개발자가 코드의 의도를 깊이 조사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디버깅 시간이 증가하고 오류에 더 많이 노출되며 유지보수와 협업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면에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면 코드가 자가 설명적이 되고 탐색하기 쉬워져 코드 품질과 개발자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 ❌ Bad, uses a generic name that doesn't communicate its
//    purpose or content clearly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 ✅ Good, uses a descriptive name
const [email, setEmail] = useState('');

변수 이름에서 피해야 할 단어들

  • 더미

이벤트 핸들러

이벤트 핸들러 이름은 handle로 시작해야 하고, on은 컴포넌트 속성의 이벤트 이름 지정에 사용됩니다.
// ❌ Bad
const onEmailChange = (val: string) => {
  // ...
};
// ✅ Good
const handleEmailChange = (val: string) => {
  // ...
};

Optional Props

선택적 프로퍼티에 대한 기본값 전달을 피하십시오. 예시 다음과 같은 EmailField 컴포넌트를 보십시오:
type EmailFieldProps = {
  value: string;
  disabled?: boolean;
};

const EmailField = ({ value, disabled = false }: EmailFieldProps) => (
  <TextInput value={value} disabled={disabled} fullWidth />
);
사용법
// ❌ Bad, passing in the same value as the default value adds no value
const Form = () => <EmailField value="username@email.com" disabled={false} />;
// ✅ Good, assumes the default value
const Form = () => <EmailField value="username@email.com" />;

프로퍼티로써 컴포넌트

가능한 한, 인스턴스화되지 않은 컴포넌트를 prop으로 전달하여 자식이 필요한 prop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세요. 가장 일반적인 예는 아이콘 컴포넌트입니다.
const SomeParentComponent = () => <MyComponent Icon={MyIcon} />;

// In MyComponent
const MyComponent = ({ MyIcon }: { MyIcon: IconComponent }) => {
  const theme = useTheme();

  return (
    <div>
      <MyIcon size={theme.icon.size.md}>
    </div>
  )
};
React가 컴포넌트를 컴포넌트로 인식하려면, PascalCase를 사용하여 나중에 <MyIcon>으로 인스턴스화해야 합니다.

Prop 드릴링: 최소화하기

React에서 prop 드릴링은 상태 변수 및 그 설정자를 중간 컴포넌트가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러 컴포넌트 계층에 걸쳐 전달하는 관행을 의미합니다. 가끔 필요할 수 있지만, 과도한 prop 드릴링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읽기 어려움: prop이 어디서 시작되었고 어디에서 사용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 깊게 중첩된 컴포넌트 구조에서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2. 유지보수의 어려움: 한 컴포넌트의 prop 구조의 변화는, 해당 prop을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러 컴포넌트에서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컴포넌트 재사용성 감소: 많은 prop을 전달하기 위한 컴포넌트는 그 용도가 덜 일반적이게 되며,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재사용하기 어려워집니다.
과도한 prop 드릴링을 사용하고 있다고 느껴진다면, 상태 관리 최적 관행을 참조하세요.

가져오기

가져올 때는, 지정된 별칭을 사용하고 전체나 상대 경로를 지정하지 않도록 하세요. 별칭 처리
{
  alias: {
    "~": path.resolve(__dirname, "src"),
    "@": path.resolve(__dirname, "src/modules"),
    "@testing": path.resolve(__dirname, "src/testing"),
  },
}
사용법
// ❌ Bad, specifies the entire relative path
import {
  CatalogDecorator
} from '../../../../../testing/decorators/CatalogDecorator';
import {
  ComponentDecorator
} from '../../../../../testing/decorators/ComponentDecorator';
// ✅ Good, utilises the designated aliases
import { CatalogDecorator } from '~/testing/decorators/CatalogDecorator';
import { ComponentDecorator } from 'twenty-ui/testing';

스키마 유효성 검사

Zod는 타이핑되지 않은 객체를 위한 스키마 유효성 검사기입니다:
const validationSchema = z
  .object({
    exist: z.boolean(),
    email: z
      .string()
      .email('Email must be a valid email'),
    password: z
      .string()
      .regex(PASSWORD_REGEX, 'Password must contain at least 8 characters'),
  })
  .required();

type Form = z.infer<typeof validationSchema>;

파괴적 변경

테스트가 아직 광범위하게 통합되지 않았으므로, 변경 사항이 다른 부분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는지 철저한 수동 테스트를 통해 보장하세요.